상단영역

본문영역

정부, 누진제 개편 안 된다더니 이젠 된다고?

  • 입력 2016.08.12 19:27
  • 기자명 버락킴너의길을가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BS

대한민국에 안 되는 게 어딨어? 다 되지~

KBS <개그콘서트>의 시청률이 지금과 달리 2~30%를 거뜬히 찍던 시절 '현대생활백수(2005년 11월~2006년 5월)'라는 코너에 출연했던 개그맨 고혜성이 대박 친 유행어다. "자장면 2,000원에 안 되겠니?"라며 기어코 자장면 가격을 깎아내던 그의 익살스러운 개그는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그의 유행어는 여러 상황에 맞게 다양하게 활용돼 쓰였다. 고대 유물같던 그의 말이 이젠 새삼 달리 읽힌다.

‘우기면 된다’는 1차원적인 해석에 머물기엔 뭔가 아쉽다. '안 되는 게 없다'는 말은 끝까지 도전하다 보면 원하는 것을 성취할 수 있다는 언어로 풀이될 수 있다. 하지만 그 앞에 '대한민국에’가 붙는다면 의미는 완전히 달라진다. 그 순간 사회 차원의 문제가 된다. 애초에 되는 일을 안 된다고 둘러대는 대상들의 문제로 나아간다. 뻔히 할 수 있으면서 너무도 쉽게 안 된다고 벽을 쌓아버린 채 현재 상황을 모면하려는 태도 말이다.

ⓒMBC

그런데 그 소극적이고 회피적인 태도는 강렬한 요구 앞에 쉽사리 무너진다. 전기요금 누진제를 둘러싼 논란을 지켜보고 있자니 "대한민국에 안 되는 게 어딨어?"라고 외쳤던 고혜성의 한물간 유행어가 떠올랐다. 대한민국 정부는 국민들의 '누진제 개편'이라는 '합리적인 요구'에 대해 별다른 고민 없이 관성적으로 '안 된다'만 반복했다.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화가 났지만, 그보다 더 분노를 자아냈던 건, 너무도 쉽게 '된다'며 뜻을 급선회한 무책임하고 무계획한 정부의 모습이었다.

지난 9일까지만 해도 산업통상자원부는 "전기요금 누진제 완화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채희봉 에너지자원실장은 "전력 수요를 낮추려면 누진제가 필요하다. 여름철까지 전력을 많이 쓰게 하려면 발전소를 또 지어야 한다 (...) 누진제를 개편하면 부자 감세 구조가 될 수 있다"는 엉뚱한 답변을 내놓아 가뜩이나 더운 국민의 불쾌지수를 높였다. 누진제 개편은 사회 · 경제적 변화가 반영되지 않은 현행 제도를 현실에 맞게 바꾸자는 취지에서 비롯된 것임에도 정부는 본질에서 한참 비켜서서 눈과 귀를 막고 있으니 답답한 노릇이었다.

ⓒKBS

더불어민주당

“계절별 차등요금을 추진하고, 에너지 소외계층에 '바우처'를 제공하는 방안도 검토하자"

국민의당

"누진제 1~2단계를 1단계로, 3~4단계를 3단계로 통합해 총 4단계로 축소하자"

8월 9일 실시한 리얼미터의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누진제를 완화하거나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전체의 80.9%를 차지했다.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9.1에 그쳤다. (표본오차 95% ±4.3%, 유무선 혼용방식) 누진제 개편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여론을 감지한 것일까? 지난 11일 박근혜 대통령이 "조만간 전기요금 좋은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자 산업부는 기존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 개편 불가론'을 가볍게 접고, 누진제 개편 작업에 착수했다.

그토록 강경했던 산업부의 '안돼'가 이토록 쉽게 '된다'로 바뀌게 된 건 대통령의 한마디 때문이었고, 그 대통령의 발언은 국민의 지속적인 요구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우습게도 우는 아이 달래듯 던지는 떡고물(한시적 누진제 완화 방안)도 떨어졌다. 정부와 새누리당은 긴급 당정협의를 열어 전기요금 부담을 낮출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 동안 한시적 누진제 완화 방안(누진제 구간의 폭을 50㎾씩 넓히는 방식)을 제시했다.

ⓒJTBC

ⓒJTBC

"우리나라와 같이 가정용에 11.7배의 누진제를 적용하고 있는 나라는 없다. 정부가 왜 가정용에만 누진제를 적용하는지 국민을 합리적으로 설득하려면 여러 사람이 참여한 복수의 기관으로부터 생산단가에 대해서 제대로 평가를 하고 공감대를 얻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다.”

이창원 한성대 행정학과 교수

"현행 6개 누진 단계를 절반 수준인 3단계로 줄이고 11.7배에 달하는 누진 배율을 2배 남짓으로 낮춰야 한다"

김진우 연세대 글로벌융합기술원 특임교수

한시적 누진제 완화는 본질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1974년 도입돼 2004년 지금의 6단계 구단으로 정착된 누진제를 현실적인 수준에 맞게 뜯어고치고 산업용 전기료를 올리는 등의 방안을 모색해야만 전기 요금의 합리화가 이뤄질 것이다. 그런데도 정부가 반대의 뜻을 고수하다 당장 여론을 무마하기 위해 시혜성 정책을 내놓은 것은 매우 유감이다. 정부는 지금 국민이 떼쓰기를 하는 것처럼 여기는 모양이다. 그래서 달콤한 사탕을 하나 입에 물려주면 잠잠해질 것으로 판단했는지 모른다.

"안 되는 게 어딨어"를 외치자 떡고물이 떨어지고 상황이 반전된다. 하지만 이런 현상은 결코 바람직하다 할 수 없다. 그건 신뢰가 없는 사회의 전형이 아닌가. '안돼'를 말하는 주체는 깊은 고민과 가능한 모든 수단을 고려한 후 신중한 태도를 보여야 한다. 그래야만 대답을 기다리던 사람들이 수긍할 수 있지 않겠는가? 애초에 신뢰가 없는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괴로울 수밖에 없다. 끊임없이 '안돼'를 의심해야 하고 거부해야 하기 때문이다. 오늘도, 내일도 "안 되는 게 어딨어?"라고 외치며 부딪쳐야 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직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