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반독점 정책이 자본주의의 병폐를 들어낼 수 있을까

  • 입력 2015.05.26 11:09
  • 기자명 economic view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럴해저드(moral hazard) :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여 사회에 피해를 주는 것

*대마불사(大馬不死) : 대형 금융회사는 영원히 망하지 않는다는 믿음

*컨틴전시(contingency) : 만일에 일어날 어떤 사태


민스키는 은행가들이 벌인 게임과 모럴해저드, 대마불사 사이에 연계가 있음을 언급했다.
“미국은 일종의 ‘컨틴전시 사회주의’의 한 형태를 띠고 있는데, 특정한 조직들의 부채는 공공연한 정부 개입이나 독점적 가격결정권의 부여를 통해 보호받는다. 거대한 기업들은 그들의 채무에 대해 묵시적인 공공적 보증(예 : 컨틴전시 부채)을 보유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은연중에 공공적 성격을 갖는 부채는 우선적으로 해결될 것으로 믿기 때문에 거대 기업이나 거대 은행을 선호하는 편견이 발생한다.”

Hersh Sheferin/Meir Statman, Santa Clara University, Nov. 2011, p51



경제학자 하이먼 민스키(Hyman Minsky). 금융시스템은 원래 불안정한 것이라는 '금융불안정론'을 제시했다.


금융위기를 맞이하여 새로이 주목 받고 있는 경제학자 하이먼 민스키가 사용한 ‘컨틴전시 사회주의(Contingency Socialism)’라는 표현은 낯설다. 이 표현에서 쓰인 ‘사회주의’가 지난 금융위기 당시 ‘부자를 위한 사회주의, 빈자를 위한 자본주의’라는 표현에서 사용된 사회주의와 비슷한 맥락이라고 간주해도 크게 무리는 없을 것 같다. 그리고 맥락상 그가 ‘사회주의’라는 단어를 긍정적으로 사용하진 않은 듯하다.
민스키는 이렇듯 ‘부자를 위한 사회주의’가 도래할 수 있는 위기상황을 피할 방법 몇 가지를 제시했는데, 그는 정부의 크기, 고용정책, 산업정책, 그리고 금융개혁 등의 범주에서 각각 대안을 제시했다. 우선 정부의 크기나 고용정책에 있어서 그는 비교적 진보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즉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에 긍정적이다. 산업정책에 있어서는 뉘앙스가 다른데 대마불사가 불가능한 규모로 기업의 크기를 제한할 것을 제안했다.


시장주의 경제학과 거리를 두는 민스키지만 기업에 대한 생각은 시장주의 원칙과 다르지 않아 보인다. 그는 불공정한 이득과 모럴해저드를 초래할 수 없도록 기업의 크기를 제한하는 공격적인 반독점 정책을 지지했다. 지나치게 순진한 대안이 아닐까 싶다. 자본주의 소비선순환을 받들고 있는 기업이 모럴해저드를 초래하지 않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기업이 바로 프레디맥과 패니메다. ‘정부보증회사(government-sponsored enterprise)’라는 특수한 지위에서 금융위기를 거치며 국유화된 이 회사들은 부동산 소유 사회라는 ‘미국인의 꿈’을 실현할 항구적인 의무를 자임하던 회사들이다. 이 의무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그들은 모럴해저드를 유발하며 엄청난 이득을 취했다. 하지만 그 모럴해저드가 없었더라면 미국 자본주의는 ‘컨틴전시 사회주의’로 이행하기도 전에 망했을지도 모른다.


반독점 정책으로 구글이나 애플 등 거대한 기업들의 규모를 제어하는 문제는 조금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그들은 사실상 ‘미국의 자본주의’를 유지하기 위한 ‘항상적인 사회주의’ 시스템의 핵이기 때문이다. 만에 하나 패니메와 프레디맥, 또는 신용사회를 떠받치고 있는 거대 금융기관의 규모를 모럴해저드를 유발하지 않을 만한 규모로 제한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당연하게도 아무도 현재의 낮은 금리수준으로 그들의 채권을 인수하지 않을 것이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