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100년 만에 제날짜 찾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일

  • 입력 2018.04.16 10:07
  • 수정 2018.06.05 16:29
  • 기자명 정운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9년부터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이 현행 4월 13일에서 4월 11일로 바뀐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올해 임정 수립 99주년 기념식에서 이같이 밝혔다. 임정이 100년 만에 제대로 된 생일을 맞는 셈이다. 늦었지만 잘 한 결정이다.

(관련 기사: 대한민국 임정수립일, 내년부터 ‘4월11일’로 바로 잡는다)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 행사에 참석한 이낙연 국무총리 ⓒ연합뉴스

오늘 하루라도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임정을 이끈 여러 애국선열을 기억해두자. 1919년 3.1혁명의 결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탄생했다. 이국땅에서 수립된 망명정부는 1945년 8월 광복 때까지 사반세기 동안 고난의 세월을 보냈다.

1919년 4월 상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 직원 일동

혹자는 임정이 한 일이 뭐가 있냐며 폄하하기도 한다. 그런 폄하는 옳지도 않을뿐더러 25년 세월 일제의 방해 속에서 임정 간판을 내리지 않은 것만으로도 대단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2차 대전 당시 폴란드 망명정부, 프랑스 망명정부(드골의 ‘자유 프랑스’) 등은 존속기간이 3~4년에 불과했다. 우리 임시정부와는 비교도 되지 않는다.

물론, 임정이 한계도 없진 않았다. 여러 갈래의 노선과 계파로 인해 갈등도 많았다. 대통령제, 국무령제, 주석제 등 여러 차례의 개헌도 결국은 내부갈등이 한 요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당시 독립세력이 중국 관내, 만주, 노령(러시아), 미국 등지에 산재해 있었던 데다 교통과 통신이 요즘처럼 원활하지 않아 소통에도 큰 어려움을 겪어야만 했다.

그런데도 1932년 윤봉길 의거 이후 8년간에 걸친 피난살이 끝에 충칭에 자리를 잡은 후 광복군을 창건해 조국 독립의 열망을 키웠다. 국민당 정권의 후원을 받다 보니 초기에는 광복군 통솔권을 그들이 갖고 있었지만, 태평양전쟁 발발 후 대일선전포고를 통해 연합군 대열에 서면서 마침내 우리 임시정부가 광복군 통솔권을 회복했다. (이는 지금 한국의 전시작전권이 미군에게 있는 것과 유사하다)

임정을 이끈 지도급 어른들 몇 분을 거명해보면, 초대 임시의정원(현 국회) 의장과 임시정부 주석을 여러 차례 역임하신 석오 이동녕 선생을 첫머리에 꼽을 수 있다. 이어 초대 대통령 이승만, 도산 안창호, 김구 주석, 재무부장 성재 이시영, 여러 차례 임시의정원 의장을 지낸 홍진, 비서장 동암 차리석, 조완구 선생 등을 꼽을 수 있다. 대한민국이 존속하는 한 만고에 빛날 이름들이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