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여성이 남성보다 더 적은 임금을 받는 이유

  • 입력 2016.06.01 11:32
  • 수정 2016.06.02 09:39
  • 기자명 페미디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글은 논문 <성별 격차의 대규모 수렴> 마지막 장을 (원제 <Goldin, C. (2014). A grand gender convergence: Its last chapter.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104(4), 1091-1119.>)에 대한 간략한 소개입니다.

* 페미디아는 ‘터브먼이 잭슨을 쫓아냈지만, 성별임금격차를 잊지 말자’에서 성별 임금 격차 해소와 유연한 업무 환경을 결부한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과 클라우디아 골딘(Claudia Goldin) 교수의 인터뷰를 소개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골딘 교수의 2014년 논문을 통해 미국의 성별 임금 격차를 자세히 들여다보고, 왜 유연한 업무 환경이 중요한지 간력하게 살펴보겠습니다.



미국, 남성에 비해 20% 적은 여성 임금
1980년대까지 미국의 임금 격차는 ‘인적 자본’ 축적의 차이로 대부분 설명됐습니다. 인적 자본은 대표적으로 교육 수준의 차이를 포함합니다. 여성은 남성보다 교육 수준이 낮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을 받는 일을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교육 수준의 차이는 점차 줄어들었고, 최근에는 거의 사라진 것으로 보입니다. 그에 따라 임금 격차 역시 줄어들었지만, 미국에선 아직도 여성은 남성보다 20% 이상 낮은 시간당 임금을 받으며 일을 합니다. 이 격차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성별 임금 격차, 남성 선호만으로는 설명 안 돼
미국의 임금 자료를 보면 흥미로운 몇 가지 사실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시간당 임금(시급)은 휴직 여부 및 주당 업무 시간 등에 크게 영향받지만, 그 영향이 1) 직종에 따라 다르다는 것, 2) 나이가 많을수록 임금 격차가 커진다는 것, 3) 무자녀 여성의 임금 격차가 현저히 작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들은 단순히 기업에서 남성을 선호하여 성차별적 임금을 제시한다는 것으로 설명되지 않습니다.
골딘 교수는 임금이 일하는 시간에 정확히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에 주목합니다. 특정 직종에서는 시급 만 원의 노동자가 2시간을 일해 2만 원을 벌지만, 다른 직종에서는 같은 시급을 받는 노동자가 2시간을 일해 5만 원을 벌기도 합니다. 뒤엣것의 경우, 오래 일할 때의 보상이 크지만, 적게 일할 때의 손해도 무척 큽니다. 첫 번째 경우를 선형적 임금 구조, 두 번째 경우를 비선형적 임금 구조라고 합니다.



비선형적 임금 구조가 성별 임금 격차의 원인
고소득 직종 중 선형적 임금 구조를 보이는 대표적인 직업은 약사입니다. 대부분의 약사는 일한 시간에 비례해 소득을 올립니다. 비선형적 임금 구조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직업에는 법조인과 경영인이 있습니다. 둘은 시간당 임금이 업무 시간에 따라 무척 높아집니다. 여러분은 앞선 세 직업에서 성별 임금 격차가 어떻게 다를지 예상이 되나요? 약사는 성별 임금 격차가 거의 없는 반면, 법조인과 경영인의 경우에는 그 격차가 매우 큽니다.
나이가 많아지고 자녀가 생김에 따라 여성이 일할 수 있는 시간은 남성과 비교하면 현저히 줄어들게 됩니다. 약사의 경우 줄어든 업무 시간에 따른 손해가 거의 없는 반면, 법조인이나 경영인의 경우에는 무척 크기 때문에 우리가 보는 임금 격차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업무 환경의 유연성과 선형 임금 구조
임금 구조의 선형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업무 환경의 유연성입니다. 즉, 최소 업무 시간이 얼마인지, 출퇴근 시간이 정해져 있는지, 고객이나 동료들과의 면대면 만남을 자주 해야 하는지, 휴직이 자유로운지에 따라 임금 구조가 결정됩니다. 업무 환경 유연성에 관한 자료를 살펴보면 과학, 기술 직종은 업무 환경이 유연하지만, 경영, 보건 직종은 그렇지 못합니다. 그리고 법조계 직종은 업무 환경이 가장 경직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직종별 차이는 고스란히 성별 임금 격차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출처: YTN




한국, 성별 임금 격차 OECD 압도적 1위
이러한 분석이 사실이라면 한국의 성별 임금 격차가 어떠할지는 굳이 확인하지 않아도 알 수 있겠습니다. 실제로 2014년 OECD 자료를 보면 한국이 2위와의 격차를 크게 벌린 압도적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10년이 훌쩍 넘게 1위의 자리에서 내려오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에서도 남녀의 교육 수준 차이가 사라진 지 오래되었습니다. 미국 노동 시장을 대상으로 한 분석을 한국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힘들겠지만, 한국의 지나치게 경직된 업무 환경을 생각해보면 성별 임금 격차가 ‘그냥’ 발생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관련 기사: 경향비즈, 남녀 임금격차, 가장 큰 이유는 ‘그냥’) 업무 환경을 유연하게 만드는 노력과 더불어, 여성의 업무 시간 손해가 최소화되도록 동등하게 가사를 분담하는 문화가 정착된다면 성별 임금 격차 해소에 크게 다가설 수 있을 것입니다.



글쓴이: 박정흠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