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학생들의 불만이 나는 칭찬인 줄 알았다

  • 입력 2015.10.29 16:26
  • 기자명 309동1201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0년 즈음 박사 과정 중에 잠시 어학당에서한국어강의를 했다. 내가 이십 대 후반이었던 때다. 대학 입학을 앞둔 외국 학생들을 대상으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가르치는 일이었다. 나는 어학 전공이 아니었지만 몇 주 간의 위탁 연수를 거쳐 해당 어학원에서만 활용 가능한 강사 자격을 받았다. 2010년을 전후해외국어로서의 한국어가 성황이었다. 많은 학교들이 급히 어학당을 설치해 각국 학생의 유치에 나섰고, 문학에서 어학으로 전향하는 주변 연구자들도 많았다. 그 중에는 일본이나 카자흐스탄과 같은 나라로 일찌감치 떠난 이들도 있었다. 나 역시 그러한 분위기에 편승해 잠시 어학당의 강사가 되었다. 내 의지였다기보다는 그저 '내가 해야 할 일인가 보다 생각했다.
어학당 학생들은 대부분 20대 초반의 중국 학생들이었다. 가끔 일본이나, 러시아나, 미국 학생이 한두 명 있기도 했다. 어린 나이에 유학 온 그들은 공부보다는 쇼핑, 연애, 서울 나들이에 관심이 많았다. 지난 주말에 무엇을 했습니까, 하고 물으면 명동, 홍대, 강남, 이러한 곳에 다녀왔다고 서로 목소리를 높였다.
그런데, 어학당 강의는 나에게 무척 부끄러운 과거다. 특히 나에게 배운 첫 분반 학생들이 종종 떠오를 때면 지금도 그들에게 죄스럽다. 제대로 수업하지 못 했기 때문이다. 나는 누군가를 가르쳐 본 경험이 없었고, 특히 어학은 내 전공도 아니었다. 그저 교재를 충실히 가르치는 데만도 많은 노력이 필요했다. 가끔 학생들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표정을 짓거나, 단어와 문법에 대한 추가 질문을 할 때면 난감했다.


한국어가 서툰 외국인에게 한국어의 문법을 설명하는 것은 정말이지 어려운 일이었다
. 그것은 내가 해당 문법을 가르칠 만큼 제대로 알고 있느냐의 문제가 아니었다. 나 스스로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수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질문이 나오지 않기만을 바라며 그저 교재의 내용만 힘겹게 가르쳐 나갔다. 어린 학생들의 반응에 따라 나의 감정 기복 역시 쉽게 오르락내리락 했다. 가끔은 학생들의 호응이 좋아서 나도 덩달아 기쁘게 다시 연구실로 돌아가기도 했지만, 그저 터덜터덜 축 처져 걸어가는 일이 더 많았다.
어느 날은 너무 힘들었다. 함께 자취하는 선배 둘에게 살려 달라 연락한 후에, 편의점에서 술과 안주를 적당히 샀다. 그리고 방에 들어가 그들 앞에서 도저히 강의하지 못 하겠어요 아무래도 저는 강의 체질이 아닌가 봐요하며 울었다. B는 그런 나를 다독여 주며 내일부터는 뭔가 달라질 거야라고 했다. 이유를 묻자 그는 나도 강의를 처음 시작하고 너무 힘들어서 선배 앞에서 울었는데 이유는 모르겠지만 다음 날부터 다 잘 되더라고하고 답했다. 옆에 있던 L난 처음부터 잘했는데…’ 하고 혼잣말을 하다가 B에게 넌 다 나쁜데 그게 제일 나빠하는 핀잔을 들었다. 두 선배의 아웅다웅에 울고 웃으며 한껏 위로 받았다. 그렇게 새벽까지 조촐한 술자리가 끝나고, 조금은 후련해 졌다. 하긴, 어학당 강의를 제대로 해내지 못 하면 대학 어디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싶었다. 여전히 강의실에 들어가는 발걸음은 무거웠고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았지만, 열심히하고자 마음먹었다.
논문을 읽고 쓰는 시간을 줄이고, 한국어 교재를 더 가까이 두었다. 예문을 다양하게 만들고, 어떻게 하면 단어와 문법을 쉽게 가르칠 수 있을까 고민했다. 동시에 학생들을 다그쳐 나갔다. 정해진 강의 시간은 50분씩이었는데, 나는 자주 똑똑, 하고 강의실 문을 두드리는 소리에 수업을 마쳤다. 가르치는 데 정신이 팔려 시간이 가는 것을 잘 느끼지 못 했다. 다음 강의를 맡은 선생님은 창문 틈을 통해 기웃기웃 나를 쳐다보며 내가 나오기만을 기다렸다. 한 번은 선배 강사가 나를 따로 불러서는 다음 수업을 위해 강의를 제 시간에 끝내면 좋겠다고 했다. 나는 알겠다고 했지만 오히려 나의 성실함이 학생과 선배들에게 잘 전달 될 것이라 여겼다. 실제로 선배 강사들은 그것을 초임 강사의 열정으로 생각해 주었는지,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였다.
어느 날도 나는 정해진 수업 시간을 훌쩍 넘기며 계속 강의했다. 똑똑, 소리에도 할 건 해야지하는 생각에 급히 마무리 수업까지 하고서는 죄송합니다 선생님, 하고 강의실 문을 열었다. 그리고 가방을 주섬주섬 챙겨 나가려는데, 미카라는 예쁘장한 여학생이 나에게 다가와, 지금도 잊을 수 없는 어떤 말을 했다.

You are very hard teacher

미카는 옅은 한숨과 웃음을 함께 내뱉었다. 나는 그에게 고마워요하고 답했다. 연구실로 돌아가는 길에 ‘hard’라는 단어에 대해 생각하며 웃음 지었다. 나의 노력이 학생들에게 인정받은 것이다.


그래서 편의점에 들러서 다시 한 번 적당한 술과 안주를 사서
B L을 만났다. 그리고는 학생이 저에게 하드 티처 라는데 제가 열심히 하긴 했나 봐요. 형님들과 술자리 가진 이후에 모든 게 잘 풀리고 있어요. 고마워요.’ 하고 말했다. B거봐 나도 그랬다니까하며 웃었고 L나는 뭐 그런 소리 너무 자주 들어서 지겨운데하다가 B에게 다시 한 번 성토를 당했다. 뭐랄까 비로소 아카데미의 일원이 된 것 같았다. 학회지에 서투른 첫 논문을 게재했을 때만큼이나 마음이 뿌듯했다. 그 날의 술자리는 B L의 아웅다웅과 함께 일찌감치 즐겁게 마무리 되었다.
선배들과 미카 덕분에 어떤 여유가 생겼는지, 나는 그날부터 학생들의 표정이나 반응을 살피기 시작했고, 시계를 확인하는 버릇도 들였다. 하지만 55~60분을 쉬지 않고 진행해야 그 날의 과정을 마무리할 수 있을 만큼, 수업은 그렇게 정형화 되어 있었다. 어느 날도 오늘도 5분 정도는 추가 수업을 해야 겠구나, 하고 진도를 나가는데 학생들의 표정이 별로 좋지 않았다. 특히 미카의 표정이 어두웠다. 나는 속으로 미카 너는 그러면 안 되잖아, 하고 생각하며 수업을 마쳤다. 그 후로 ‘hard teacher’라는 단어가 계속해서 머릿속을 맴돌았다. 그 뜻을 딱히 검색해 보지는 않았지만 아마도열정이 있다거나 그런 의미였겠지, 하고 생각했다. 그런데열정 있는 교수님이라는 조합에 왠지 모를 위화감이 들었다. 그러고 보니 언젠가 그러한 조합과 대면한 일이 있었다.
나는 어학당 학생들과 같은 이십 대 초반이던 시절, ‘열정적인 교수님과 이미 수차례 만났다. 그들은 대개 쉬는 시간을 고려치 않고 연이어 수업하다가 아아 힘드네, 좀 쉬었다가 하자, 하고 말했다. 학생들의 집중력이 이미 눈에 띄게 떨어졌더라도 수업은 강행되었다. 1시간이든, 2시간이든, 수업의 맺고 끊음은 교수자의 컨디션에 따라 조절되었다. 또는 감당하기 힘들 만큼의 과제를 내 주기도 했다. 그러고 나면 나는 아아, 너무나 열정적이시다, 하고 옆의 학생들과 함께 자조를 내뱉곤 했다. 내가 기억하는 열정적인 교수자들은 대부분혼자열정적이었다. 비로소 미카가 말했던 ‘hard teacher’라는 단어가 가진 의미를 알았다. 나는 나 혼자 취해 있었던 것이다.
1년 남짓한 짧은 기간이었지만, 어학당의 어린 학생들을 가르치며 나는 그들에게 오히려 많은 것을 배웠다. 마지막 분반을 맡았을 때는 조금이나마 나 스스로 여유를 다잡고 강의실에 들어갈 수 있었다. 예문을 더 만들고 단어 시험을 한 번 더 보는 대신, 천천히 말하기, 가장 쉬운 단어로만 말하기, 모든 것을 가르치려 하는 대신 하나라도 제대로 가르치기, 그들의 문화를 존중하기, 무엇보다 쉬는 시간 지키기, 같은 것에 집중했다. 그때부터 강의실에서 학생들의 웃음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교재 연구에만 매진하거나 쉬는 시간을 잡아먹는 대신, 그들의 입장에 서서 교수법에 대해 고민하는 것이 옳았던 것이다.
어학당 강의는 내게 너무나도 부끄럽고, 그리고 감사한 경험으로 남았다. 특히 미카가 아니었다면 나는 여전히 열정적인 교수님으로 홀로 취해있었을 것이다. 몇 년 후 맡은 대학국어 강의에서 그나마 시행착오를 덜 겪은 것은 이러한 덕분이다. 누군가 교수님은너무 열정적으로강의를 하십니다, 하고 말해 줄 때까지 나를 뒤돌아볼 계기를 쉽게 마련하지 못 했을 것이다. 미카는 내게열정은 교수자보다 학생과 어울릴 때 비로소 제 의미를 갖는 것임을 가르쳐 주었다. 나는 강단에서 언제나 뜨거워야 하지만, 동시에 가장 차갑게 사유해야 하는 존재다. 학생들에게 열정을 전하고, 그것으로 그들을 고양시키는 역할을 맡고 싶다. 지금도 강의하고 싶은 내용이 더 있거나, 혹은 스스로 취하는 때 역시 있지만, 그때마다 ‘You are hard teacher’ 라던 미카의 말을 예전의 질감 그대로 떠올리며 마음을 다잡는다. 나의 욕심을 열정으로 미화시키지 않으려 한다. 미카는 강의실에서 만난, 나의 첫 번째 지도교수다. 지금은 어디에선가 사회의 일원으로 훌륭히 살아가고 있을 미카에게 감사를 전한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